블로그 이미지

Rachmaninov 라흐마니노프 - Piano Concerto No.2 피아노협주곡2번 / Lang Lang

2013. 3. 2. 23:23

 

Sergei Rachmaninoff [Rachmaninov] (1873-1943)

 

"젊은 날의 좌절과 우울증이 예술로 승화된 라흐마니노프 최고의 역작"

Rachmaninov - Piano Concerto No.2

 

 

말이 필요없는 라흐마니노프의 최대 역작 피아노 협주곡 2번이다. 그의 음악에선 Erik Satie의 감미로운 선율과 Beethoven의 강렬함, 그리고 Tchaikovsky의 웅장함이 나타난다. 2미터에 육박하는 신장과 일반인의 두배 길이의 손가락을 가진 당대 최고의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이며 지휘자였던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곡들은 마치 피아노의 한계가 어디까지 인가를 보여주려는 둣 최고의 테크닉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1909년 미국 데뷔를 위해 작곡된 피아노 협주곡 3번에서 그 정점을 보여준다. 하지만 그가 작곡한 4개의 피아노 협주곡 가운데 2번이 가장 감동적으로 다가오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아마 그의 젊은 날의 좌절과 그로 인한 우울증을 극복하고 탄생한 곡이기 때문일 것이다.

 

1897년에 초연된 교향곡 1번에 대해 받아야 했던 감당할 수 없는 악평으로 인해 23세의 젊은 라흐마니노프는 깊은 좌절감에 빠지게 되고 그후 3년 동안 어떤 작품활동도 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찾아온 '나탈리아(Natalia Satina)'와의 이루지 못한 사랑은 그를 더욱 좌절과 우울증의 늪에 빠뜨리고 만다. 어렸을 때 부터 알고 지내던 동료 피아니스트 '나탈리아'와 사랑하게 되고 약혼까지 지만 그녀는 그와 사촌지간이었다. 그들의 결혼을 반대하는 러시아 정교회와 그녀의 부모로 인해 끝내 모든 것이 좌절되자 그의 우울증은 더욱 심해진다. 어쩌면 그의 삶은 거기서 끝났을지도 모른다. 그 때 한 사람을 만나게 되는데..음악 애호가이자 심리학자인 '니콜라스 다르(Nikolai Dahl)'박사였다. 다르박사는 암시를 통한 '심리치료'로 그를 치유하기 시작하였고 라흐마니노프가 겪고 있던 우울증과 새로운 작품에 대한 자신감 상실(writer's blcok)은 서서히 치유되기 시작하였다. 피아노 협주곡 2번은 그 모든 젊은 날의 좌절과 상실감과 우울증을 극복한 1901년 '니콜라스 다르'박사에게 헌정된 곡인 것이다. / hanihani101♧

 

 

 

 

1. Piano Concerto No.2 in C minor, Op.18 - 1. Moderato

2. Piano Concerto No.2 in C minor, Op.18 - 2. Adagio sostenuto

3. Piano Concerto No.2 in C minor, Op.18 - 3. Allegro scherzando